
웹 서비스 가용성(Availability) 가용성이란 서버와 네트워크 등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를 의미한다. 즉, 서비스가 다운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cf. High Avaliability(HA) 고가용성 시스템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시스템 확장과 시스템 이중화가 있다. (Scale Up/Down, Scale Out/In) 성능테스트 (Performance Test) 성능테스트는 시스템의 '고가용성을 위해' 병목지점과 같은 성능 이슈를 찾는 테스트이며 성능테스트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부하테스트(load test)'와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가 있다. 성능 테스트는 좀 더 추상적인 개념이다. 1) 부하테스트 (Load Test) - 부하..
[ 트러블슈팅-개선 ]
2022. 12. 16. 11:0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Linux
- spring
- Java
- CICD
- Kubernetes
- golang
- helm
- Non-Blocking
- Controller
- Stream
- LFCS
- RDB
- 컨트롤러
- 코틀린
- ci/cd
- 쿠버네티스
- GitOps
- ubuntu
- rolling update
- go
- db
- 카프카
- docker
- github actions
- argocd
- jvm
- container
- K8s
- 우분투
- kafk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