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wOXO/btrJC4kI9aW/8ziM5sfq6fnpJQRKhrebuK/img.png)
도커를 기반으로 배포를 하다가 컨테이너로 들어가서(docker exec) 작업이 잘 수행되었는지 확인할 경우가 있었다. 들어가서 ps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 apt 커맨드로 procps 패키지를 설치했는데, apt가 지원이 되지 않았다. yum으로 변경하니 패키지가 설치되었다. 호스트 OS는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컨테이너 OS는 centos였던 것이다. 컨테이너의 개념이 호스트 OS를 공유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 리눅스 배포판이 바뀔 수 있던 이유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1. 리눅스 구조 리눅스는 kernel space와 user space로 나뉜다. 1) user space application들이 실행되는 공간으로 이 application이 실행되는데 필요한 library나 환경을 제공..
[ 자격증 ]/[ AWS ]
2022. 8. 14. 15:5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helm
- jvm
- ubuntu
- LFCS
- container
- 우분투
- kafka
- GitOps
- github actions
- 카프카
- argocd
- rolling update
- golang
- CICD
- Kubernetes
- Stream
- spring
- db
- 코틀린
- RDB
- Linux
- 쿠버네티스
- docker
- Non-Blocking
- Java
- 컨트롤러
- Controller
- K8s
- ci/cd
- go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