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ping(ICMP 프로토콜) 차단 설정하기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는 TCP/IP에서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에 속한다. IP에는 오로지 패킷을 목적지에 도달시키기 위한 내용들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목적지 호스트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IP에서 통신이 성공하고 종료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만약 전달해야 할 호스트가 꺼져 있거나, 선이 단절된 경우와 같은 비정상적인 경우에 이 패킷 전달을 의뢰한 출발지 호스트에 이러한 사실을 알려야 하지만, IP에는 그러한 에러에 대한 처리 방법이 명시되어있지 않다. 이러한 IP의 부족한 점을 메꾸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ICMP 프로토콜이다. ICMP는 해당 호스트가 없거나, 해당 포트에 대기중에..
[ 생각정리 ]
2022. 4. 19. 10:5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helm
- container
- rolling update
- RDB
- spring
- Linux
- Java
- Controller
- go
- 우분투
- ci/cd
- GitOps
- Stream
- argocd
- 코틀린
- ubuntu
- github actions
- jvm
- LFCS
- Kubernetes
- K8s
- docker
- db
- kafka
- 카프카
- 쿠버네티스
- Non-Blocking
- golang
- 컨트롤러
- CIC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