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했던 방법 /etc/default/jenkins 파일 수정하기 sudo vim /etc/default/jenkins - 해당 파일에서 HTTP_PORT를 수정했으나 포트가 변경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 사용중인 버전 정보는 다음과 같다. - Jenkins: 2.346.2 - Ubuntu: 20.04 - Java: 11 해결방법 jenkins.service 파일 수정하기 sudo chmod 777 /usr/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sudo vim /usr/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sudo chmod 444 /usr/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jenkins.service 파일의 권한을 7..
이번 포스팅의 목적은 네트워크 흐름의 overview를 그려보고는 것이다. 대략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고 너무 자세한 내용은 생략했다. 1 계층 Physical Layer 컴퓨터가 다루는 / 주고받는 모든 데이터는 0과 1의 나열이다. Physical Layer에서는 0과 1의 나열로 구성된 데이터를 지정된 주파수에 맞게 흘려보내고 수신자는 이를 받아 디지털 신호로 디코딩한다. 주로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하드웨어 레벨에서 처리된다. 2 계층 Data-Link Layer 같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단말 중에 목적지로 보내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목적지를 연산한다는 것은 아님) 주로 Framing 작업을 수행하는데, 원본 데이터를 frame이라는 단위로 묶어 다음 ..
- Total
- Today
- Yesterday
- K8s
- db
- ci/cd
- kafka
- 컨트롤러
- Java
- Non-Blocking
- 우분투
- rolling update
- docker
- jvm
- container
- github actions
- 카프카
- Kubernetes
- Linux
- golang
- RDB
- 코틀린
- helm
- spring
- Stream
- GitOps
- LFCS
- Controller
- ubuntu
- 쿠버네티스
- argocd
- CICD
- go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